본문 바로가기

일상/부동산

청약 중도금 조달 계획(Option. 주식 투자 or 대출 갚기)

반응형

 

 

자금 조달 계획

 

청약 자금 조달 계획 세우기

얼마를 가져야 청약에 당첨되어도 비용을 커버할 수 있을까?

우리 가족의 현황에 대해서 말씀 드리자면, 아이 둘 4인 가족. 청약 되기 전까지 외벌이를 하였고 매월 월급을 받으면 자산 증식을 위해 일정 고정금을 주식이나 청약 계약금을 모으면서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최근 2년 정도는 그래도 매월 월급의 최소 30프로 정도는 자산을 늘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구요.

 

김포에 거주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청약이 나올거라는 소식을 종종 듣고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집값이 조금 빠지긴 했으나 추후 올라가는 아파트들은 건설비용(자재 인력비 등)이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때가 적절한 타이밍이다라는 생각이 들어, 현재 저희 가족이 보유한 현금과 끌어올 수 있는 부분을 고려해보았습니다.

 

입주시 대출 금액은 공급액 총액의 50프로 미만으로 받고 들어갈 수 있다는 계산이 섰고, 청약을 넣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저와 와이프는 변동성이 크지 않은 주식 투자나 배당주들을 모아가며 안정성을 추구하는 편입니다.)

공급금액 및 납부일정

 

주식 투자 vs 대출 상환

안정적인 자산증식을 추구하는 저와 더더욱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와이프와 의견 대립이 있었습니다.


부인의 의견 : 1차 중도금 자납 / 2차 중도금도 가능하면 자납하고 3차부터 6차까지 중도금 대출을 받는 동안 매달 약 200만원씩 모아서 틈틈히 대출을 상환하면 좋겠다

이유 : 중도금 대출 이자율을 5프로라고 가정했을때 기간이 42개월이기 때문에 1차 중도금에 대한 이자가 약 1천만원으로 예상됨.(집단대출 시행사가 아직 지정되지 않아 정확한 이율 확인 불가)

대출이자 계산

 

요지 : 최대한 이자를 줄였으면 좋겠다고 함.

+ 자납 시뮬레이션

1회차 자납시 잔금 : 중도금 총액 2억 8850만원 + 이자 총액 2225만원 = 총액 : 3억 1075만원

2회차까지 자납시 잔금 : 중도금 총액 2억 3080만원 + 이자 총액 1467만원 = 총액 : 2억 4547만원

 

남편의 의견 : 1차 중도금부터 집단 대출을 받지 않고 미국주식 고배당주 장기투자로 Snow ball 키우기

이유 : 현재 모아둔 돈이 적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로 봤을때 초기 투자 금액이 클 경우 배당 재투자를 통해 더 크고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음.

입주시점에 대출 이자를 확인하고 어느정도 금액을 상환하면서 주식은 그대로 자산 크기를 키우는데 집중.

 

요지 : 투자금이 크다면 배당금 자체도 높으니 장기적으로 보면 배당금으로 이자를 갚을수도 있고 금액을 활용할 수 있는 선택 옵션이 더 늘어남.

+ 투자 시뮬레이션 (** 장기적으로 보자면 평균에 수렴하므로 환율 및 주식의 변동성은 감안하지 않음.)

조건

--------------------------------------------------------

2024년 11월 15일에 5770만원 투자

2025년 5월 15일 5770만원 투자
2027년 12월 1일 기준으로 총액은 얼마가 될까?

(배당금은 재투자하고 배당 시행월은 3,6,9,12월)

현재 환율 = 1405원(매수시 환율 기준)
주식 1주 = 46 US 달러(주식 가격은 부부간 의견 논의하였던 24년 6월 초 기준)
분기 배당 = 0.98 US 달러
연 배당 성장률 = 4.35%(2000~2024년도까지 연평균 배당 성장률입니다.)
세금 = 15.4프로(250만원까지 비과세 부분은 옵션에 넣지 않았습니다.)

--------------------------------------------------------

계산 조건 및 결과

--------------------------------------------------------

2024년 11월 15일에 5770만원을 투자하여 2027년 12월 1일 기준으로 총액을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금 변환: 5770만원을 달러로 변환.
주식 구매: 초기 투자금으로 구매 가능한 주식 수 계산.
배당금 계산 및 재투자: 분기별 배당금 수령 및 재투자.
세금 적용: 배당금에 대한 세금 계산.
배당 성장률 적용: 연간 배당 성장률을 적용하여 배당금 증가 계산.
기간 설정: 2024년 11월 15일부터 2027년 12월 1일까지의 기간 동안 배당금 누적 계산.
총액 계산: 총 투자금 및 배당금 수익을 합산하여 계산.
계산 진행
이제, 각 단계별로 계산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위 조건으로 투자하고 2027년 12월 1일 기준으로 총액을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차 중도금 결과
총 자산 가치: 90,173,143 원
최종 주식 가치: 73,742,830 원
총 배당 수익 (세후): 16,430,313 원

 

2차 중도금 결과

총 자산 가치: 83,523,485 원
최종 주식 가치: 70,382,070 원
총 배당 수익 (세후): 13,141,415 원

 

총액

총 자산 가치: 173,696,628 원
최종 주식 가치: 144,124,900 원
총 배당 수익 (세후): 29,571,728 원

 

Remarks : 2028년도에 나오는 연 배당액은 약 5,860,247원

 

중도금 1-6차 총액 + 이자 = 3억7746만원

위 시뮬레이션 돌린 배당주 매매 후 원금 및 이자 상환시 3억 7746만원 - 1억7369만원 = 2억 377만원
(**달러 매도시 금액과 수수료를 감안하지 않았고, 비용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결론

위 남편이 해외주식 고배당주 계획은 희망회로라고 생각하여 1차 중도금 자납 후 2차부터 어떻게 할지 다시 상의하기로 결정.(고배당주 주식 이름이 궁금하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ETF나 커버드콜 아닙니다.)


반응형